목차
1. 피싱 문자란 무엇인가요
2. 피싱 문자의 주요 유형과 특징
3. 피싱 문자 구별법 핵심 포인트
4. 피싱 문자 예방 및 대처 방법
5. 피싱 문자 신고 및 사후 대처
이재명 정부가 시작되고 가장 큰 예산집행이라 할 수 있는 전국민 민생회복 지원금 25만원 소비쿠폰 지급일 7월 21일이 다가오네요이번에 추경이 국회를 통화하면서 민생회복 지원금은 25만원+a가 되었어요
그러나, 좋은소식 뒤엔 주의할 점도 있어요. 바로 이번 지원금을 이용한 보이스피싱, 문자 사기 피싱문자가 벌써부더 극성이라해요
이번에는 피싱문자 사기를 당하지 않는법, 잘 대처하는 방법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볼게요
발빠른 금융기관들은 벌써부터 문자로 카톡으로 유치전을 시작했네요
오늘아침 농협 카카오톡 메시지에요.
내용을 보면, 7월21일부터 지급 및 신청이 시작되니 농협으로 신청하라… 신용카드, 체크카드, 지역사랑 상품권, 선불카드 중 선택하면 된다, 신청은 카드사, 상품권플렛폼에서 가능하고 해요
문제는 이런 문자나 카카오톡 메시지를 교묘하게 이용해서 피싱사기를 치는 경우죠
민생회복 소비쿠폰, 25만원이 아니었다! 추가 지원금과 사용법까지➤
피싱 문자란 무엇인가요
피싱 문자는 문자메시지(SMS)와 피싱(Phishing)의 합성어인 ‘스미싱(Smishing)’으로 불리기도 해요.
악성 앱 주소가 포함된 휴대폰 문자(SMS)를 대량으로 전송 후 이용자가 악성 앱을 설치하도록 유도하여 금융정보 등을 탈취하는 신종 사기수법이에요.
사기범들은 신뢰할 만한 기업이나 기관을 사칭해서 사용자가 의심 없이 링크를 클릭하도록 유도하죠.
한번 악성 앱이 설치되면 개인정보와 금융정보가 탈취될 수 있어서 매우 위험해요.
피싱 문자의 주요 유형과 특징
1. 택배 배송 관련 피싱
가장 흔한 피싱 문자 유형 중 하나로, 택배 배송 안내를 사칭하는 문자에요.
정상적인 택배 사이트는 운송장 번호만 요구하지만, 피싱 사이트는 전화번호나 개인정보를 추가로 요구한다는 점이 다르죠.
특히 연말이나 명절 기간에 택배 이용이 증가할 때 더욱 기승을 부려요.
2. 지인 사칭 피싱
추석 인사, 돌잔치 초대장 등을 보내며 지인을 사칭하는 유형이에요.
피해자의 주소록이나 모바일 메신저 계정을 해킹해서 지인 명의로 돈을 보내달라는 문자를 보내기도 해요.
모바일 초대장을 보내드린다는 문자를 받고 링크를 클릭했더니 자신도 모르게 주소록의 모든 사람에게 똑같은 스미싱 문자가 전달되는 경우도 있어요.
3. 공공기관 사칭 피싱
올해 1분기 피싱 문자 유형 1위는 ‘기관 사칭’인 것으로 나타났어요.
은행, 경찰서, 검찰청, 도로공사 등을 사칭하며 범죄에 연루되었다거나 범칙금 고지서가 발부되었다는 문자를 보내요.
공공기관이 개인정보를 문자로 요구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는 점을 기억하세요.
피싱 문자 구별법 핵심 포인트
1. 발신자 정보 확인
정상적인 기업이나 기관의 문자는 명확한 발신자 정보가 표시되어요.
피싱 문자는 번호만 표시되거나 이상한 영문자가 섞여 있는 경우가 많아요.
문자 메시지의 상호명을 특수문자와 함께 띄어쓰기를 했다면 의심해봐야 한다고 해요.
2. 링크 주소 확인
피싱 문자의 링크는 의미 없는 숫자와 영문자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어요.
정상적인 기업 사이트는 보통 회사명이 포함된 도메인을 사용하죠.
단축 URL(goo.gl, bit.ly 등)이 사용된 경우에는 더욱 주의가 필요해요.
3. 문자 내용의 특징
피싱 문자는 긴급함을 강조하거나 혜택을 미끼로 사용하는 특징이 있어요.
“즉시 확인”, “오늘까지”, “무료 혜택” 등의 표현이 자주 사용되죠.
맞춤법이나 띄어쓰기가 부자연스러운 경우도 많아요.
피싱 문자 예방 및 대처 방법
1. 기본 예방 수칙
출처가 확인되지 않은 문자 메시지의 인터넷 주소 클릭하지 않기가 가장 중요해요.(<–가장 중요!!!)
지인에게서 온 문자라도 평소와 다른 형태라면 전화로 직접 확인하는 것이 좋아요.
스마트폰의 보안 설정을 강화해서 악성코드 등 미확인 앱이 함부로 설치되지 않도록 해야 해요.
2. 스마트폰 보안 설정
안드로이드 기기는 ‘설정 > 보안 > 알 수 없는 앱 설치’를 차단해두세요.
iOS 기기는 기본적으로 앱스토어 외부 설치가 차단되어 있지만, 구성 프로파일 설치를 주의해야 해요.
백신 앱을 설치해서 정기적으로 검사하는 것도 도움이 되죠.
3. 문자 차단 기능 활용
스마트폰의 스팸 문자 차단 기능을 활성화하세요.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스팸 차단 서비스도 함께 이용하면 더욱 효과적이에요.
의심스러운 번호는 차단 목록에 추가해서 재발을 방지할 수 있어요.
피싱 문자 신고 및 사후 대처
1. 신고 방법
피싱 문자를 받았다면 사이버범죄 신고 사이트(ecrm.police.go.kr)를 통해 신고할 수 있어요.
통신사 고객센터(KT 100, SKT 114, LG 101)로 신고하는 방법도 있죠.
스팸 문자는 ‘#스팸’ 또는 ‘#신고’와 함께 118로 전송하면 신고가 가능해요.
2. 악성 앱 설치 시 대처법
실수로 악성 앱을 설치했다면 즉시 앱을 삭제하고 스마트폰을 초기화하는 것이 안전해요.
금융 앱의 비밀번호를 모두 변경하고 카드사와 은행에 사고 신고를 해야 해요.
개인정보 유출 가능성이 있으니 신용정보 조회 서비스를 통해 정기적으로 확인하세요.
3. 금융 피해 발생 시 대처
금융 피해가 발생했다면 즉시 해당 금융기관에 신고하고 계좌를 정지시키세요.
경찰서에 사기 신고를 하고 금융감독원 전자금융거래 분쟁조정위원회에 구제 신청을 할 수 있어요.
피해 금액이 크다면 변호사 상담을 받아보는 것도 고려해보세요.
하지만 위에서 소개한 구별법과 예방법을 숙지하고 있다면 충분히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답니다.
특히 출처 불명의 링크는 절대 클릭하지 않기와 의심스러운 문자는 공식 채널로 확인하기를 항상 기억하세요.
개인정보 보호는 나 자신이 지켜야 할 소중한 자산이니까요.
자주 묻는 질문
SK텔리콤, SK7모바일 위약금 면제 환급 조회방법(7월 14일 신청마감)➤
인버터 에어컨 사용법, 전기요금 폭탄 피하는법?!➤
최근 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