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요소수란 무엇인가
2. 언제부터 의무가 되었나
3. 요소수 없이 운행하면 생기는 문제
4. 경고등 단계별 대응법
5. 요소수 보충 시기와 방법
6. 주의사항 및 관리법
요소수란 무엇인가
요소수는 67.5%의 탈이온수와 32.5%의 요소로 구성된 무색, 무취의 수용성 액체예요. 국제표준화기구의 ISO 22241에서는 AUS 32라는 명칭으로 표준화되어 있어요.
디젤 엔진에서 배출되는 유독가스인 질소산화물을 질소와 물로 바꿔주는 역할을 해요. 이 과정은 SCR이라 불리는 선택적 촉매환원 장치에서 일어나며, 대기오염의 주원인이자 발암물질인 질소산화물을 무해한 물질로 변환시켜요.
요소수는 차량의 구동 자체에 직접적으로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환경규제를 만족시키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물질이에요. 연료량 대비 5~7% 정도의 요소수를 사용하게 되어요.
언제부터 의무가 되었나
2015년 이후 출시된 디젤차량에는 SCR 요소수 시스템이 적용되기 시작했어요. 2008년 이후에는 DPF 미립자 필터가 의무 장착되었고, 이후 더욱 강화된 배출가스 규제에 대응하기 위해서예요.
국내에서는 2019년부터 디젤차에 SCR 장착이 완전 의무화되었어요. 따라서 최근 출시되는 모든 디젤차량은 요소수를 사용해야 해요.
2016년 이후 제작·수입된 경유차량에는 SCR이 의무적으로 장착되어 있으며, 이런 차량들은 요소수 없이는 정상적인 운행이 불가능해요. 15년 전 구형 디젤차들이 요소수 없이도 운행이 가능했던 이유가 바로 이 때문이에요.
요소수 없이 운행하면 생기는 문제
가장 심각한 문제는 차량 시동이 아예 걸리지 않는다는 점이에요. 유럽 배출가스 기준에 맞추기 위해 디젤차들은 요소수가 없으면 엔진 시동이 걸리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어요.
주행 중에 요소수가 완전히 떨어진다고 해서 즉시 시동이 꺼지지는 않아요. 하지만 한 번 시동을 끄면 다시 시동을 걸 수 없게 되며, 출력이 65%까지 떨어져서 정상적인 주행이 어려워져요.
환경적으로는 질소산화물이 대기 중에 그대로 방출되어 미세먼지와 온실가스의 원인이 되어요. 이는 대기오염을 심화시키고 인체에도 유해한 영향을 미칠 수 있어요.
경고등 단계별 대응법
1차 경고등은 요소수 잔량 기준으로 약 2,400km 주행거리가 남았을 때 나타나요. 이 시점에서는 아직 여유가 있어서 걱정하지 않으셔도 되어요.
2차 경고등을 지나 3차 경고등은 잔량 기준 1,000km 이하로 남았을 때 나오며, 이때부터는 요소수 보충을 준비해야 해요. ‘000km 후 재시동 불가능’이라는 경고 메시지가 표시되어요.
4차 경고등이 뜨면 요소수가 완전히 고갈된 상태로, 시동을 끄면 다시 걸 수 없게 되어요. 이 단계에서는 즉시 요소수를 보충해야 정상적인 운행이 가능해요.
요소수 보충 시기와 방법
요소수 소모량은 주행습관과 운행 패턴에 따라 달라져요. 일반적으로 6,000km마다 보충하는 것이 권장되지만, 개인차가 있을 수 있어요.
요소수는 주유소나 자동차 용품점에서 구입할 수 있으며, 직접 보충하거나 정비소에서 교체할 수 있어요. 보충할 때는 반드시 정품 요소수를 사용해야 하며, 가짜 요소수나 다른 액체를 넣으면 SCR 시스템이 고장날 수 있어요.
요소수 주입구는 보통 연료주입구 근처에 위치해 있으며, 파란색 뚜껑으로 표시되어 있어요. 보충 시에는 흘리지 않도록 주의하고, 완전히 비우기 전에 미리 보충하는 것이 좋아요.
주의사항 및 관리법
요소수는 어는점이 영하 11도이기 때문에 겨울철 보관에 주의해야 해요. 차량의 요소수 주입통에는 열선이 있어서 문제없지만, 별도로 보관할 때는 얼지 않도록 해야 해요.
SCR 시스템이 장착된 디젤차량은 반드시 정품 요소수를 사용해야 해요. 가짜 요소수를 사용하면 SCR 시스템의 고장 원인이 되며, 배출가스 정화 기능을 상실하게 되어요.
요소수는 개봉 후 직사광선을 피하고 서늘한 곳에 보관해야 해요. 또한 유통기한이 있으므로 구입 시 제조일자를 확인하고, 오래된 요소수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아요.
디젤차 소유자에게 요소수는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예요. 환경을 보호하고 법규를 준수하기 위해서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차량이 정상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요소죠. 요소수 경고등이 뜨면 미루지 말고 빠르게 보충하여 불편함을 겪지 않도록 하세요.
자동차 창문 떨림·소음 원인과 해결 방법➤
자동차 검사, 정기·종합검사 주기·비용·과태료 총정리➤
자주하는 질문